분류 전체보기91 [Book] 한 권으로 읽는 컴퓨터 구조와 프로그래밍 - 인트로 대상독자 이 책의 대상 독자는 '좋은 프로그래머'이며, 저자가 말하는 '좋은 프로그래머'는 아래의 자질을 갖춘 사람이어야 한다. 1. 좋은 비판적 사고와 분석 기술을 지닌 사람 2. 작동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고 유지보수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하는 사람 3. 컴퓨터 작동을 잘 이해하는 사람 그래서 저자는 '이 책은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있지만 깊이 부족으로 인해 불만족스러워하는 사람을 위한 책이다' 라고 한다. 읽으면서 '음 나를 위한 책이야!! 라며 고개를 연신 끄덕 + 책을 잘 읽어보겠다는 의지가 샘솟았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저자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두 단계로 설명한다. 1. 우주를 이해한다 2. 3살 짜리 아이에게 이해한 내용을 설명한다. 우주를 이해한다는 것은 '모든 분야를.. 2022. 6. 24. 프로그래머스 lv1. 모의고사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answers) { var answer = [] var scores = [ { person: 1, score: 0 }, { person: 2, score: 0 }, { person: 3, score: 0 } ]; for (i=0; i b.score-a.score); if (scores[0].score > scores[1].score) { answer.push(scores[0].person); } else if (scores[1].score > scores[2].score) { answer.push(scores[0].person); answer.push(scores[1].person); } else { answer.push(scores[0].person); ans.. 2022. 3. 31. 프로그래머스 Lv1. 완주하지 못한 선수 세 가지 방법 정도로 풀어보았는데 세 풀이 모두 정확도 테스트는 통과하였지만 효율성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 첫번째 풀이 방법. 이중 for문을 사용해서 완주자 명단에 있는 사람을 한 명씩 잘라내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function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 for(i=0;i 2022. 3. 30. 프로그래머스 Lv.1 소수 만들기 5월-6월에 가고 싶었던 부트캠프 (네이버 부스트캠프, 우아텍, 코드스쿼드) 들이 모집 (예상) 이라는 정보를 듣고, 하루에 한문제씩이라도 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를 풀어보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고 있다. 태어나서 알고리즘을 풀어보는 게 처음이기도 (본래 전공 언론정보학과 ^^;) 하고 아직 프로그래밍을 배운 지 얼마 안돼서 내가 적은 알고리즘이 좋은 알고리즘이라는 확신은 없다. 그래도 한 문제 한 문제 풀어가면서 새롭게 알아가는 것들이 많아서 간단하게라도 풀이에 성공한 문제들은 어떤 실수를 했는지, 새로 알게 된 문법들이 있는지 기록해보고자 한다! 1. 문제 프로그래머스 Lv1. 소수 만들기 (링크) 2.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nums) { var answer const sum.. 2022. 3. 24. javascript - const/ let / var 차이점 (재선언, 재할당, 유효범위, 호이스팅의 관점에서) 자바스크립트에서는 const , let , var 를 통해 변수를 선언한다. 일부 교육 자료들에서는 변수선언을 var 키워드로만 하는데 이는 const와 let이 2015년 ES6를 통해 생긴 새로 생긴 변수 선언자이기 때문이다. 현재는 변수 선언을 위해 const와 let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고 var의 사용은 지양된다. 이 세 키워드의 차이점을 정리해보고, 왜 var 키워드의 사용이 지양되는지에 대해서도 이해해보자. 비교/대조 요약부터 👇🏻 var const let 변수 선언 및 초기값 할당 초기값 없이 변수 선언 가능 초기값 없이 변수 선언 불가 초기값 없이 변수 선언 가능 재선언 (re-declaration) 가능 불가 불가 재할당 (update) 가능 불가 가능 유효범위 (Scope) g.. 2022. 3. 18. [CSS] 자주 사용하는 스타일 (border, color 등) 변수로 만들어서 사용하기 CSS를 사용하다보면 자주 사용하게 되는 스타일(메인 컬러, border 스타일 등) 이 존재하는데, 이렇게 반복되는 스타일을 변수로 처리하게 되면 여러가지 이점이 있다. 그 중에서도 내가 생각하는 가장 좋은 점은 아래 두 가지 ! 1. 같은 코드를 반복해서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즉 코드 작성이 편해진다. 2. 추후 메인 컬러나 스타일이 변경되더라도 변수만 변경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편해진다. 변수 생성하기 변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root 선택자를 사용하고, 속성을 --변수명:변수내용; 과 같이 입력한다. 작성한 내용은 CSS 파일 (html에 직접 CSS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style 태그 내) 최상단에 넣으면 된다. 변수 사용하기 변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var(변수명) 으로.. 2022. 3. 10. 이전 1 ··· 11 12 13 14 15 16 다음 반응형